레이블이 뿌리서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뿌리서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2월 24일 수요일

오랫만에 헌책방

 

신혼집을 꾸미면서, 집에 있던 책들을 가져와 책꽂이에 옮겨보았는데....

이런..나름 꾸준히 책을 본다고 생각했었는데..책장이 너무 횡하다.....

뭐 꼭 책장을 채우겠다는 것은 아니지만....(정말?) 헌책방에 들른지도

제법 오래 된듯 하여 낙성대 뿌리 서점에 들렀다.

 

간만의 방문이라 마음에 드는 책이 제법 있지 않을까 기대를 했으나...

우선순위 1순위로 두고 사는 '눈빛'사 책들은 한 권도 없었고,

한참을 뒤적여서 살까 말까 망설여지는 책들만 조금 있었다.

 

(거듭 강조하지만 꼭 책장을 채우겠다는 욕심에서가 아니라!--;)

결국 이것저것 17000원어치를 구입했는데...

 

하룻밤의 지식 여행 시리즈 - <롤랑바르트>, 김영사

같은 시리즈로 <데리다>, <라캉>, <포스트페미니즘>, <포스트 구조주의> 등을

갖고 있는 것 같은데..쉽게 풀어놓은 책이긴 하지만 정말 아는 만큼만 보이는 책.

 

<미학입문> - 죠지 딕키 지음, 오병남 황유경 옮김, 서광사

살까 말까 정말 고민을 했던 책이다. 자그마치 출간년도가 1980년도,

 한자어 뒤에 독음도 없다. 철학자들 별로 예술에 대한 관점이 나열된 것 같아서 일단 구입.

 

<기계시대의 미학>, 열화당

페르낭 레제 평전이다. 페르낭 레제에 대한 소개와 함께, 말미에 페르낭 레제의 논문

<기계시대의 미학>이 수록되어있다. 예술가들의 글을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지.

 

<무의식의 분석>, 칼 구스타프 융 외, 흥신문화사.

흥신문화사 서적들이 필수(?) 인문 교양 서적들이 제법 되는 것 같다.

요즘 무의식에 대해 관심이 좀 생겨서 일단 구입.

 

<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칸딘스키, 열화당

칸딘스키의 유명한 글. 지금의 관점에서라면 아마도

버럭버럭 말도 안돼! 를 외치며 읽게 되지 않을까 싶지만,

일전에 <사진의 독재>에 인용된 칸딘스키의 글-예술의 무의미에 대한 긍정?-을 보고

꼭 한번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했었다.

 

<니체의 눈으로 다빈치를 읽다>, 사카이 다케시, 개마고원

사실 이토우 도시하루의 <사진과 회화>, 일본에서 번역되고, 다시 한역된 존 버거의 <이미지> 등에서

나타나는 왠지 모를 '주류(영미권)를 거스르는 듯한' 느낌 때문에 옆나라 출신 서적들에 대해서는

다소 고민을 하게 된다. (물론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처럼 명징한 서적들도 있다)

다른건 모르겠고 바타이유가 제법 등장하는듯 하여(요새 무의식과 더불어 바타이유에도 관심이 생겼다)

 일단 구입.(저자가 바타이유 전공이란다), 그러고보니 요새 짜라투스트라도 읽고 있어서--;

니체에 솔깃했던듯도..;